🔸 지금까지 배운 걸 조합하면?


✅ 1단계: Person 클래스 만들기

public class Person {
    String name;
    int age;

    // 생성자
    public Person(String name, int age) {
        this.name = name;
        this.age = age;
    }

    // 자기소개 메서드
    public void sayHello() {
        System.out.println("안녕하세요! 저는 " + name + "이고, 나이는 " + age + "살입니다.");
    }
}


✅ 2단계: 리스트에 객체 담기 & 출력하기

import java.util.ArrayList;

public class HelloApplication {
   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        // 사람 객체들을 담을 리스트 생성
        ArrayList<Person> people = new ArrayList<>();

        // 리스트에 사람 추가
        people.add(new Person("박하", 27));
        people.add(new Person("철수", 22));
        people.add(new Person("영희", 25));

        // for-each문으로 모두 출력
        for (Person p : people) {
            p.sayHello();  // 각 사람마다 자기소개 실행
        }
    }
}

🟢 출력:

안녕하세요! 저는 박하이고, 나이는 27살입니다.
안녕하세요! 저는 철수이고, 나이는 22살입니다.
안녕하세요! 저는 영희이고, 나이는 25살입니다.


💡 이걸 왜 배우는 걸까?

스프링에서 우리가 만들게 될 대부분의 API는

"객체 리스트"를 JSON으로 주고받는 방식이야.

예:

[
  { "name": "박하", "age": 27 },
  { "name": "철수", "age": 22 }
]

→ 오늘 배운 게 REST API 응답과도 바로 연결돼!